안녕하세요 코린이인데. 코인선물하려고 업비트에서 리플을 사서 바이낸스로 옮겨서비트코인선물을 했는데선물거래 포지션정리 후에제 지갑을 보니까 계속 제 지갑 btc 수치랑 달러 수치가 바뀌더라구요.포지션정리를 했는데 왜 자산변동이 있는건가요?
1. 펀딩 비용(Funding Fee) 발생
매일 8회 발생하는 수수료
바이낸스 선물 거래는 24시간마다 8번의 펀딩 타임이 있으며, 포지션 보유 시 롱/숏 포지션 간 금리 차이에 따라 수수료가 부과됩니다.
포지션 정리 후에도 잔여 영향
포지션을 청산했더라도, 청산 시점의 펀딩 비용이 이미 자산에 반영되었을 수 있습니다.
(예: 마지막 펀딩 타임 직전에 포지션을 정리했다면, 해당 회차의 펀딩 비용이 청구됨)
2. 거래 수수료 누적
입금/출금, 스왑, 거래 수수료
리플(XRP) → BTC 전환 시 스왑 수수료
BTC/USDT 선물 거래 수수료 (0.04%~0.05%)
자산 간 전환 시 추가 수수료 (예: USDT → BTC 스왑)
→ 소액이라도 반복되면 자산에 누적 영향 발생
3. 환율 변동 (BTC/USDT 가격 변동)
실시간 가격 변동 반영
포지션 정리 후에도 BTC 가격이 실시간으로 변동되며, 이에 따라 USDT 가치도 연동되어 표시됩니다.
(예: BTC 가격 1% 하락 → 동일한 USDT 수량이라도 BTC 수치는 증가)
4. 바이낸스 자금 이동 메커니즘
자동 헷징(Auto-Hedging)
바이낸스는 선물 포지션의 손익을 현물 자산에 자동으로 반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(예: 선물 포지션에서 실현 손익이 발생할 경우, 현물 지갑의 BTC/USDT가 즉시 조정됨)
5. 시스템 지연 또는 표기 오류
실시간 데이터 갱신 지연
대규모 거래소라도 자산 반영에 1~3분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→ F5 새로고침 또는 로그아웃 후 재접속으로 확인 가능
확인 방법
펀딩 비용 내역 확인:
바이낸스 앱 → Wallet → Funding History에서 기록 확인
트래잭션 기록 검토:
Wallet → Transaction History에서 수수료 및 자산 이동 내역 확인
실시간 가격 차트 비교:
CoinMarketCap 또는 TradingView에서 BTC/USDT 가격 변동 추적
결론
포지션 정리 후 자산 변동은 펀딩 비용, 수수료, 환율 변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.
단, 실현되지 않은 포지션 이익/손실은 청산 시점에 최종 반영되므로, 실제 자산은 청산 완료 후 안정화됩니다.
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 주세요!
참아야지! 참아라! 그러면 잘 되어 갈 걸세. 친구여, 정말 자네 말이 맞네. 세상 사람들 틈에 끼여 날마다 일에 쫓기며,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과 그들의 행동을 보기 시작한 이후로 나는 나 지신과 휠씬 더 잘 타협할 수 있게 되었네.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- 괴테